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1970년 우리나라생활 모습 정겨운 사진들

by 나무그늘이 2025. 3. 25.
728x90
반응형

1970년대 

1970년대 대한민국은 산업화와 경제 발전이 빠르게 진행되던 시기로, 국민들의 생활상도 급격한 변화를 겪었다. 농촌에서 도시로의 이주가 활발해졌으며, 생활 수준이 향상되었지만 여전히 전통적인 생활방식과 현대적인 요소가 공존하는 모습이 두드러졌다.

주거 생활

1970년대 초반까지도 많은 사람들이 한옥이나 판잣집에서 생활했으며, 연탄을 사용한 아궁이가 일반적이었다. 하지만 경제 발전과 함께 아파트 문화가 확산되면서 도시에서는 현대적인 주거 형태가 등장하기 시작했다. 대표적으로 1970년대 중반에 지어진 강남 개발 지역의 아파트 단지가 있습니다

전통 가옥: 주로 나무, 흙, 돌, 기와 등 자연 재료를 사용하여 건축되었습니다. 예를 들어, 한옥은 나무 기둥과 기와지붕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멋스러움이 자꾸 사라지는 것이 아쉽습니다

전통 가옥

대개 자연과의 조화를 중시하며, 방과 마루, 온돌 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공간이 유연하게 사용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주로 가족 단위의 생활을 중심으로 설계되었으며, 온돌과 같은 전통적인 난방 방식이 사용되었습니다 자연 환경과의 조화를 중요시하며, 바람과 햇빛을 고려한 배치가 이루어졌습니다.

의복 생활

이 시기에는 서구적인 패션이 점점 대중화되었으며, 남성들은 나팔바지와 칼라가 큰 셔츠를, 여성들은 미니스커트나 통 넓은 바지를 즐겨 입었다. 그러나 미니스커트는 검문을 받을 정도로 보수적인 시각도 존재했다. 학생들은 교복을 입었으며, 1974년 이후 교복이 의무화되면서 전국적으로 통일된 스타일의 교복이 자리 잡았습니다

 식생활

쌀이 주식이었지만, 70년대 초반까지도 쌀이 부족해 보리밥이나 혼식(혼합 곡물밥)이 권장되었다. 정부에서는 ‘쌀 소비 줄이기’ 캠페인을 벌이며 분식(밀가루 음식) 장려 정책을 시행했고, 이에 따라 잔치국수, 라면, 빵 등의 소비가 늘어났다. 이 시기에 라면이 국민 간식으로 자리 잡기 시작했으며, 짜장면과 김밥도 인기 있는 외식 메뉴였습니다.

교통과 이동 수단

대부분의 사람들은 도보나 자전거를 이용했고, 버스와 기차가 주요 교통수단이었다. 자동차는 일부 부유층이나 기업에서만 보유했으며, 개인 자동차 보급은 아직 미미한 수준이었다. 1970년대 후반에는 현대자동차에서 **포니(Pony)**라는 국산 자동차를 출시하면서 자동차 보급이 점차 증가했습니다

문화와 여가 생활

TV는 가정마다 있는 필수품이 아니었으며, 한 동네에서 TV가 있는 집에 사람들이 모여 함께 시청하는 풍경이 흔했다. 라디오는 주요한 정보 및 오락 매체였으며, 신문도 중요한 소식통이었다. 1970년대에는 트로트 음악과 가요가 인기를 끌었고, 남진과 나훈아 같은 가수들이 큰 인기를 얻었다. 또한, 영화관에서 홍콩 영화와 한국 영화가 많은 사랑을 받았습니다

경제와 일상생활

새마을운동이 본격적으로 진행되면서 농촌 개발과 근대화가 이루어졌고, 공장 노동자와 건설 노동자의 수가 급증했다. 많은 사람들이 일자리를 찾아 서울 등 대도시로 이주했으며, 이 과정에서 가정집에서 기숙사 생활을 하며 직장에 다니는 사람들이 많았습니다

교육과 학교 생활

학교에서는 한 반에 50명 이상이 배우는 경우가 많았고, 교실에는 나무 책상과 걸상이 놓여 있었다. 체벌이 일반적이었으며, 학생들은 엄격한 규율 속에서 공부했다. 학력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과외와 야간 자율학습도 점차 보편화되기 시작했습니다.

 

 

728x90
반응형